전체 글(4348)
-
창조 (크레비즈) 10계명
크레비즈 10계명 1:아무 열매도 맺지 못하는 상념에 메달리지 말라. 2:이상 개척주의자이면서 창의 행동가가 되라. 3:모든 이론적 정답으로부터 자유로워져라. 4:이미 검증된 성공 모델로부터 반역을 꿈꿔라. 5:무의식적 에너지까지 유출시켜 낼수있는 상상력을 키워라. 6:용광로 같은 생산 온도로 새로운 사물의 창조주가 되라. 7:개인의 사색도 실패도 국가 자원이라는 창조적 마인드를 가져라. 8:평균적 가치관에 저항할 수있는 새로운 룰을 만들어라. 9: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롭고 싶거든 이미 발견된 길을 버리고 무단횡단을 꿈꾸라. 10:미래는 오늘 꿈꾸는 자의 역사이기에 삶의 이론을 앞세워 실천행위를 부식시키지 말라. ++++++++++++++++++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Creative Business]의..
2007.12.26 -
건망증 예방을 위한 생활 태도
▶ 건망증 줄이는 법 ◀ ※ 요즘엔 30대 40대에도 "건망증" 증상이 나타나는 사례가 늘고 있음. 1. 건망증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자. 나이 들면 누구나 어느 정도 건망증은 생긴다. 2. 두뇌운동을 하자. 게임, 장기, 바둑 등 지적인 훈련이 도움이 된다. 3. 메모습관을 갖는다. 4. 음악을 듣거나 시집을 읽고 영화를 본다. 감성이 발달하고 유연한 사고를 할수록 뇌의 용량이 증가한다. 5. 뭔가를 기억하려고 할 때는 오감을 이용하자. 통장을 둘 때는 “장롱 두번째 서랍에 두었다”고 말하면 나중에 기억하기가 수월하다. 6. 일을 겹쳐 하지 않는다. 두 가지 이상 일을 한꺼번에 하면 집중력이 떨어져 기억활동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7. 운동을 하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두뇌활동..
2007.12.26 -
결장암 줄이려면 사과를
사과 등에 들어 있는 ‘파이토케미컬’이라는 물질이 장암 예방 등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 MSNBC가 7일 보도했다. MSNBC는 최근 과학잡지 네이처의 보고서를 인용해 사과의 껍질과 과육에서 추출된 파이토케미컬을 이용한 임상실험 결과 이 물질이 결장암 세포의 성장과 재생을 각각 43%와 29%씩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파이토케미컬은 인체세포에 충격을 가하는 산화작용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 항산화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뿐만 아니라 일부 특정한 파이토케미컬의 경우 인체의 면역체계를 자극하고 혈관의 봉쇄를 가져올 수 있는 응고물질을 줄여주며 종양의 확산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또다른 파이토케미컬은 암을 유발하는 물질의 활동을 억제하고 인체 ..
2007.12.26 -
기침 가래에는 배죽이 최고
프랑스의 왕 루이 11세(재위 1461∼1483)는 즉위해서 죽는 순간까지 심한 위장병과 신경쇠약 등의 병으로 고통받았다. 당대의 성자(聖者) 성 프란치스코가 그를 위해 선사한 것은 황금빛 봉 크레티엥(Bon Chretien·서양배의 일종) 나무. 성 프란치스코는 “배가 열리면 장미수와 꿀·향료를 넣고 은근한 숯불에서 푹 익혀 먹으라”고 처방했다. 중국 의서 ‘본초구진(本草求眞)’에도 배는 위장장애에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술돼 있다. 또 기관지와 폐·비뇨기의 기능을 강화하며, 발열과 복통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성질이 찬 배는 상기돼 나타나는 몸의 나쁜 열을 내려주기 때문이라는 게 한의학계의 설명이다. 조상들은 목이 쉬거나 마른 기침을 많이 할 때 배숙(배의 껍질을 벗기고 통후추를 드문드문 박아..
2007.12.26 -
설날(구정) 바로알기
구정...즉 설 바로 알기.... 세수(歲首)·원단(元旦)·원일(元日)·신원(新元)이라고도 하며, 근신·조심하는 날이라 해서 한문으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쓴다. 조선시대에 의정대신(議政大臣)들은 모든 관원을 거느리고 대궐에 나가 새해 문안을 드리고, 전문(箋文)과 표리(表裏:거친 무명 또는 흰 명주)를 바치고 정전(正殿)의 뜰로 나가 조하(朝賀)를 올렸으며, 8도에서도 관찰사·병사(兵使)·수사(水使)·목사(牧使)는 전문과 방물(方物)을 바쳤다. 이 날 사당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茶禮)라 하고, 아이들이 입는 새 옷을 세장(歲粧)이라고 하며 어른들을 찾아 뵙는 일을 세배라 한다. 이 날 대접하는 시절 음식을 세찬(歲饌)이라고 하며, 또한 이에 곁들인 술을 세주(歲酒)라 한다. 세찬으로는 떡국[餠湯]을, 세..
2007.12.26 -
세배하는 방법
웃어른에게 세배를 할 때 올바른 방법으로 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상대방의 기분을 나쁘게 만들 수도 있다. 올해는 정확한 세배법과 예절로 어른들에게 칭찬을 들어보도록 하자. 특히, 남자와 여자의 큰절하는 방법이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성에 맞는 세배법으로 어른들에게 예절을 지키도록 해야겠다. - 남자가 큰절하는 법 ① 절하는 예절은 공수에서 시작된다. 공수한 자세로 절할 대상을 향해 선다. -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한다. ② 엎드리며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③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 남녀 모두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④ 왼발이 아래로 발등을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 남자는 왼발을 아래로 오른발을 위로하여 발등을 포개고 앉는다. - ..
200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