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신욕 만성질환자엔 오히려 독이다

2007. 12. 22. 00:36편리한 생활정보

《배꼽까지만 물에 담그는 반신욕이 인기다. 목욕탕, 집 등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홈쇼핑이나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반신욕 도구들이 불티나게 팔린다. 가히 열풍이라 부를 정도다. 지난해 말 한 방송 건강프로그램에서 반신욕의 성공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룬 게 계기가 됐다. 옹호론자들은 반신욕을 하면 간질환이나 당뇨병 치료에 좋고 혈압을 떨어뜨린다고 한다. 몸이 가벼워지고 피부가 좋아져 아토피도 고친단다. 과연 그럴까. 현대의학과 한의학의 관점에서 각각 조명해 봤다.》

▽반신욕, 만병통치약인가=한의사들은 반신욕을 하면 혈액순환이 개선되고 몸 안에 있던 노폐물이 빠져나가 건강해진다고 본다.

보통 상반신은 항상 열이 차 있는 반면 하반신에 찬 기운이 많은데 반신욕을 하면 하반신이 따뜻해져 기의 흐름이 원활해진다는 것.

의사들도 반신욕 자체가 나쁘다고 보지는 않는다. 다만 목욕 자체가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반신욕은 여러 목욕법 중 하나일 뿐이란 입장이다. 그러나 의사들은 반신욕을 하기보다는 같은 시간을 걷기 등 운동에 투자할 때 더 효과가 크다고 본다.

알려진 것처럼 여러 질병을 고칠 수 있을까. 이에 대해서는 의사와 한의사가 모두 부정적이다. 목욕을 통해 병을 치료했다는 의학적 증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감기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그러나 이는 다른 목욕법도 마찬가지다. 습도가 충분하면 코 내부의 점막이 튼튼해진다. 당연히 바이러스의 침투가 어려워진다.

▽알고 해야 건강하다=반신욕을 오래 하면 습진이 생기거나 몸에 힘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반신욕 옹호론자들은 이를 ‘명현현상’이라고 부른다. 몸 안의 나쁜 기운이 빠지면서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이란 것.

그러나 이 경우 의사와 한의사들은 당장 중지할 것을 권한다. 체질이나 현재 몸의 상태가 반신욕에 맞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부작용이란 것. 피부가 갈라지고 쭈글쭈글해졌다면 기름기만 빠져 나갔기 때문에 생기는 ‘주부습진’일 가능성이 높다.

목욕은 아이, 임산부, 노인 등 누구에게나 좋은 건강법이다. 여기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찬물과 더운 물을 번갈아 하는 ‘냉온욕’에 대해서는 양한방의 입장이 약간 다르다.

의사들은 건강한 사람이라도 뜨거운 물에 있다가 갑자기 찬물에 들어가면 혈관이 갑자기 수축돼 심근경색으로 발전할 우려가 있다고 말한다.

반면 한의사들은 심장이 약하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이 아니면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피부가 수축 확대를 반복하면서 튼튼해지고 지방이 연소돼 체중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고 한다.

물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36∼37도가 가장 좋으며 40도를 넘기지 말 것을 권한다. 다만 술을 마신 다음날 숙취해소에는 고온의 목욕이 좋을 수 있다. 땀을 많이 흘려 숙취 유발물질인 아세틸알데히드를 밖으로 배출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은 절대 금물=병이 없다 해도 무턱대고 반신욕에 빠져드는 것은 옳지 않다. 특히 평소 땀이 많거나 땀을 흘렸을 때 몸이 가뿐하지 않고 되레 피곤하거나 어지럼증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피하는 게 좋다. 이 경우 기어이 반신욕을 하겠다면 36∼37도 정도에서 20분 이내로 하도록 한다.

당뇨병 환자는 신중해야 한다. 만성인 경우 혈관이 탄력성을 잃고 좁아졌기 때문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오래 목욕을 해도 혈관은 확장되지 않는다.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전혀 없다는 얘기다. 오히려 발가락 등이 빨리 썩을 수도 있다. 화상은 물론 피부가 썩고 상처가 덧날 가능성도 크다. 가볍게 족탁 정도가 좋다.

심혈관계 질환자는 반신욕은 물론 전신욕 족탁 등 이른바 ‘건강목욕법’이 모두 좋지 않을 수 있다. 특히 40도 이상 고온의 물에 20분 이상 있을 경우 혈관이 급격히 팽창해 자리에서 일어나다 쓰러지는 ‘기립성 저혈압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가볍게 샤워를 하거나 욕조에 들어가도 5분 이내에 일어서는 게 좋다.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아래 검색창을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도움말=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장양수 교수, 내분비내과 차봉수 교수, 경희대 한방병원 재활의학과 송미연 교수, 고려당 한의원 김재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