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리한 생활정보(883)
-
다이어트 어혈 푸는데 좋은 꽃게탕 만들기
요즘 일반사람들의 식생활의 풍습은 많이 달라 졌다고 할 수 있다. 몇 십 년 전만 하여도 굶지 않기 위하여 잘 먹어야지 영양분이 충분하게 공급되며, 잔병에도 걸리지 않고 얼굴색도 좋았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음식을 끼니를 때우기 위한 음식이라기 보다는 비만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맛있고 영양분이 골고루 있으며 어느 정도의 포만감을 주며 건강식이 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입안에 잘 맛는 음식이라면 체질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그래도 기름기가 있는 음식들이 맛은 좋은 편이나 비만에 있어서는 아주 치명적인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찾게 되는 음식이 고단백의 저지방이며 저칼로리인 생선과 해물류를 선호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중에 맛도 좋고 비만에도 좋은 음식이 바로 꽃게탕이라고 할 수 있다. 봄..
2008.01.02 -
하얀치아 만들기
치아가 누렇다고 건강하지 않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누런 치아는 확실히 미관상 나쁘고, 첫인상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 선천적, 후천적, 그 원인부터 밝혀서 적절한 치료를 받자. 선천적으로 누런 치아인 경우는 레이저시술이나 라미네이터법 등의 치과적 치료를 받은 것이 좋고, 후천적으로 누렇게 된 경우에는 평상시 치아관리 부주의 내지 소홀한 탓이 크므로 그 원인부터 고치는 것이 필요하다. 후천적인 누런 치아의 원인 - 커피나 콜라 등의 카페인음료를 장기간 과다 섭취하는 경우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치아를 깨끗이 닦지 않은 경우 - 과다한 흡연 - 약물을 장기간 복용한 경우 - 스켈링을 정기적으로 하지 않은 경우 - 나이가 들어가면서 - 치아가 외상을 받았을 때 후천적인 누런 치아의 치료법 - 6..
2008.01.02 -
한복 바르게 입기
한복 바르게 입는법 수월찮은 한복 입기, 자주 입지 않으니 입는 법도 잊기 쉽다. 입는 동 안 하나의 의식을 치르듯 마음도 정갈해진다. 간추려 보는 한복 바르게 입기.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짧게 -여성 속바지를 입고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2, 3㎝ 짧게 입는다. 치마를 입을 때, 뒤트임 치마일 경우에는 뒤 중심에서 양쪽으로 7㎝ 정도 여며지게 입는다. 버선을 신을 때는 수눅(시접)이 중앙을 마주보도록 기울어지게 신어야 한다.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고름을 맨 후에는 진동을 정리한다 . 특히 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게 약간 앞으로 내려 입는다 . 저고리 동정니 잘 맞춰야 -남성 내의나 속옷을 입고, 바지는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둘레를 조절해 입는다. 저고리를 입을 때에 동정니를..
2008.01.02 -
옷에 얼룩졌을 때 없애는 방법
가방에 넣어 둔 옷을 입을때의 상식 출장이나 신혼 여행을 가서 옷을 갈아 입으려고 가방에서 옷을 꺼내 보면 옷이 눌려 보기 흉할 때가 있다. 호텔에 도착하면 욕실에서 샤워를 하고 욕실에 김이 가득차면 구겨진 옷을 젖지 않게 걸고 욕실문을 닿아두었다가 아침에 꺼내 입으면 구김이 없이 깨끗한 상태로 입을 수 있다. 과일 즙이나 땀 등의 산성 얼룩이 졌을 때 바로 생긴 얼룩은 비눗물로 닦아내면 되지만, 오래된 얼룩일 경우에는 식초를 거즈에 묻혀 두드리거나 암모니아 50%액(암모니아:물=1:1)으로 닦아낸 뒤 비눗물로 닦아주면 된다. 그리고 와이셔츠등의 옷깃에 생긴 땀 얼룩은 타월에 벤젠을 뿌려서 비벼주면 빠진다. 간장.식초.소스가 묻었을 때 소금물을 칫솔에 묻혀 얼룩을 두드리고 난 후 약 30분쯤 그대로 두었..
2008.01.02 -
한가위 추석 차례상 차리기
민족 대명절 중의 하나인 추석의 차례상은 풍요로울 뿐만 아니라 보약 자체라고 할 수 있다. 따사로운 햇살의 기운을 그대로 받아 튼튼하게 자란 햇 음식으로 정성을 담아 만든 추성상. 조상의 은덕을 기리는 동시에 타향살이에 지친 가족의 건강까지 챙기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것이다. 보기에도 좋고 맛은 물론 영양까지 골고루 갖춘 우리 고유의 음식들로 차린 추석상을 만나보자. Part 1. 추석의 대표 음식 송편 추석이 다가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윤기가 흐르는 먹음직스런 송편이다. 온가족이 둘러앉아 송편 빚는 풍경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그래도 추석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송편인 것이다. 송편 반죽에서부터 건강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소, 송편 색 내는 방법까지 살펴보자. Step 1. 송편 빚..
2008.01.02 -
가지가지 김밥만들기
☆ 김치김밥 ☆ 주재료 : 배추김치4장, 김4장, 밥4공기, 참기름2큰술, 통깨2큰술, 소금1큰술 1. 배추김치는 소를 털어내고 물기를 꽉 짠다. 2. 물기를 없앤 배추김치의 줄기와 잎사귀 부분을 자른다. 3. 김은 살짝 구워 준비한다. 4. 고슬한 밥에 참기름, 소금, 통깨를 넣어 볶아준다. 5. 김발에 김, 김치를 올리고 볶은 밥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살살 편다. 6. 김발을 돌돌 말아 완성시킨다. 7. 1줄을 8-10등분을 썰어 담아 낸다. * 김치에 깨소금, 참기름, 간장으로 밑간을 해서 사용해도 좋습니다. ☆ 누드과일김밥 ☆ 주재료 : 김4장, 밥3공기, 아보카도`사과 1/2개씩, 당근1/4개, 달걀2개, 단무지4줄, 마요네즈4큰술, 양겨자1큰술 부재료 : 김말이, 소금`참기름 약간씩 1. 아보..
2008.01.02 -
창업비타민..호기심 마케팅을 활용하자
창업비타민 - 호기심 자극 마케팅을 활용하자. - 인간의 본능, 호기심을 활용하면 고객이 먼저 반응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중 한가지는 바로 호기심이다. 이런 본능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은 마케팅 분야에서 빼뜨리지 못할 중요한 분야중 하나이다. 이런 사례들은 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티저광고라고 해서 일반인들이 도대체 무엇인지 모를 내용으로 나오는 방송광고나 신문광고에서도 그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꼭 이런 티저의 정확한 분야는 아니라 하더라도 "선영아 사랑해"나 "June" 등의 광고 요즘 유행하는 "T" 광고들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조금더 확대해서 본다면 광고방송 화면내에 유명 연예인을 배경으로 마치 그 연예인의 핸드폰인양 전화번호가 노출되도록 ..
2008.01.01 -
2007년 프랜차이즈 서울 참가업체 주소록
부스 번호 업체명 브랜드명 HOMEPAGE 전화 100 ㈜공작식품 황토장군 불바베큐 www.hwangtojanggun.co.kr 02-406-5114 104 ㈜제이비에스디 LA북창동순두부 www.dubuhouse.co.kr 02-540-4352 106 한동식품 한우동, 콤마치킨 www.hanudong.co.kr 032-821-5700 109 ㈜올크린 로드하우스 02-2144-6653 113 ㈜에취알에스 스톤커피 www.hrs.co.kr 02-3453-5000 115 ㈜명인에프앤티 맛어묵, 맛족발 www.happymenu.co.kr 02-3474-8860 117 ㈜제이에스 인터푸드 꼬챙이 www.kkcl.co.kr 032-327-5885 200 ㈜지호 지호 한방삼계탕 www.jihofood.com 02-4..
2008.01.01 -
취업규칙 제10장..퇴직과 해임
취업규칙 제10장..퇴직과 해임 제 89 조 (퇴 직 원) 직원이 퇴직하고자 할 때에는 15일전에 사직원을 제출하고 허가를 득하여야 한다. 제 90 조 (정년퇴직) 직원의 정년은 만 55세로 한다. 다만 수행하는 업무의 성격상 회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제 91 조 (퇴 직) 직원이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할 때에는 퇴직되며 직원으로서의 신분을 상실한다. 1) 사직원을 제출하여 회사가 이를 승인하였을 때 2) 사망하였을 때 3) 정년이 되었을 때 4) 휴직기간 만료 후 복직원을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복직원이 승인되지 아니하였을 때 5)휴직기간 만료 후에도 휴직사유가 해소되지 아니하였을 때 6) 기간을 정하여 채용한 자로서 만기가 되었을 때 제 92 조 (해고사유) 직원이 다음..
2008.01.01 -
취업규칙 제9장..전보 및 휴직, 복직
취업규칙 제9장..전보 및 휴직, 복직 제 82 조 (전 보) 1) 회사는 회사의 필요와 직원의 적성에 다라 전보 명령을 할 수 있다. 2) 직원으로서 업무상 재해 도는 개인의 신체장애로 업무처리를 감당할 수 없는 경우 가능한 업무로 전환 배치한다. 제 83 조 (휴 직) 직원이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할 때에는 휴직을 명할 수 있다. 1) 본인이 원하여 이를 회사가 승인하였을 때 2) 업무 이외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1개월 이상 치료를 요할 때 3) 전염병, 정신병 기타 타인이 혐오하는 질병에 걸렸을 때 4) 병역법, 동원법, 향토예비군 설치법 등에 의하여 징소집 되고 그 기간이 1개월 이상 계속 될 때 5) 형사사건으로 기소되었을 때 6) 기타 회사의 경영상 부득이 할 때 제 84 조 (휴직기간) 제..
2008.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