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478)
-
음식점 마케팅을 위한 전략 1
음식점 마케팅 전략 1 비슷한 인테리어,비슷한 맛을 갖고 있는데도 장사가 잘되는 음식점이 있지만 파리만 날리는 곳이 있다. 이 것은 영업이 활성화된 집과 그렇지 않은 집의 차이가 사실은 아주 미세한데 있을 수도 있다는 걸 의미한다. 경쟁자와 별 차이가 없는데도 영업이 부진하다면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은 확실히 손님을 끌어모으고, 매출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마케팅을 위해서는 한 가지 중요한 전제조건이 있다. 바로 기본이 잘돼 있는가 이다. 기본이 엉망인데 마케팅에만 열을 올리다 보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기 쉽다. 예를 들어 열심히 전단 돌리고, 할인쿠폰 찍어내고 공짜 안주도 줬는데 맛이 없다고 하자. 손님이 다시 오겠는가? 외식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서 시장규모가 크지만 그 때문에 가장 빨리..
2008.01.01 -
음식점 마케팅 전략 2
음식점 마케팅 전략 2 1. 메뉴도 마케팅이다. 설렁탕, 김치찌개, 된장국, 순두부 등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메뉴명은 마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영자, 순이, 철수같은 이름이다. 그런 메뉴 하나로 기가 막히게 성공했거나 원조를 자랑할만큼 역사를 가지고 있다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메뉴명을 살짝 바꾸기만 해도 훌륭한 마케팅전략이 된다. 그냥 버섯찌개라고 하는 것보다는 총각 버섯찌개라고 하는게 더 궁금증을 자아낸다. 떡라면, 김치라면, 육개라면보다는 콩쥐라면 팥쥐라면이 더 눈에 띈다.요리재료 구성이나 조리법을 살짝 바꿔 재료나 조리접과 연계된 이름을 잘 지으면 히트할 가능성은 더 높다. 된장국이라고 하면 3천~4천원밖에 못받지만 쇠고기 강된장국, 별미 해물된장국이라고 하면 6천원까지 받을 수 ..
2008.01.01 -
음식점 마케팅 절략 3
음식점 마케팅 전략 3 1. 오피스가 음식점 오피스가 음식점은 전형적인 단골장사형이다. 늘 찾아오는 고객이 같은 사람들이다. 이런 지역 음식점의 중요한 마케팅전략은 할인쿠폰 활용이다. 자주 찾는 고객에게 도장을 찍어주고 도장수가 일정갯수를 넘어서면 무료 쿠폰을 하나씩 준다든지, 일정수 이상 단체 손님이 몇 번 이상오면 점심 무료 티켓을 몇 개 씩 주는 씩이다. 직원수가 많은 기업의 경우 직접 찾아가 그 회사 직원들에게 5%할인 티켓을 나눠주는 방법도 효과가 있다. 도장수가 많아지면 반지나 옥목걸이같이 평소 자기 돈으로 사기는 쉽지 않은 사은품을 선물로 주는 방법도 있다. 수가 많은 단체 회식 손님에게는 술 몇 병을 공짜로 준다든지 공짜 안주를 주방장이 직접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
2008.01.01 -
부가세 공제요령
부가세 공제 요령 사업을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오는 26일까지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납부를 해야한다. 기한 내에 신고하지 않으면 신고불성실가산세로 세금의 10%를 더 물어야 한다. 또 납부마감기한 이후에는 매일 세금의 0.05%가 추가 부과된다. 부가세로 내야할 세금이 1백만원인 사업자의 경우 신고불성실가산세로 10만원, 납부불성실가산세로 매일 5백원을 더 물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래서 세무신고 일정을 미리미리 챙겨두는 게 세테크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부가가치세는 기본적으로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뺀 금액을 내는 것이다. 매출세액은 매출액의 10%, 매입세액은 매입대금의 10%다. 결국 매입세액이 많으면 많을수록 내야할 세금이 적어진다는 결론이 나온다. 개인사업자 중 상당수는 매입세액을 제대로..
2008.01.01 -
권리금 산정시 주의사항
권리금 산정시 주의사항 점포를 구입할 때는 대개 권리금이 뒤따른다. 초보자의 경우 권리금이 있는 매장에 입점하는 것이 좋다. 그간의 상권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권리금은 흥정의 대상이기 때문에 약간의 조정도 가능하다. 이때, 해당 점포를 어떻게 평가하는 가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권리금이 있는 매장에 입점할 경우에는 과연 계약기간 동안 얼마만한 수익을 내고, 거래된 권리금이 그 가치를 할 수 있는 가를 판단해야 한다. 계약기간 동안 땀흘려 번 대가가 계약만기 시 최초 수수한 권리금보다 작다든가 아니면 전혀 받고 나오지 못할 경우가 생겨서는 안된다. 실제로 점포운영시 이런 위험성은 도처에 있게 된다. 권리금수수에 적합하지 못한 건물들은 얼마든지 있다. 이런 건물에 입주한다는 것 자체는 ..
2008.01.01 -
창업주가 알아야될 4대보험
창업자가 알아야 할 4대보험 사업자는 국세 등 세금 이외에 고용보험 등의 사회보험료의 납부의무(4대사회보험)가 있다. 사회보험 요약 1. 상시근로 수와 사회보험의 관계 1)산재보험 및 고용보험은 종업원이 1인만 있더라도 가입하여야 한다. 2)국민연금 및 의료보험은 종업원이 5인 이상인 경우 반드시 가입하여야 하며, 국민연금은 5인 미만인 경우에도 공단의 허가를 얻어 가입이 가능하다. 2. 사회보험료의 기초가 되는 급여의 범위 사회보험료는 급여에 대하여 보험요율을 적용하여 보험료를 산출한다. 이러한 보험료의 기초가 되는 급여의 범위에 있어서 각 사회보험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총급여 : 산재;고용보험료의 기준 총급여 - 비과세급여 : 국민연금보험료의 기준 총급여 - 비과세급여 - 상여..
2008.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