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펀드에 올인 하는 투자자를 위한 조언

2008. 2. 22. 18:24경제와 세금 상식

반응형

투자의 세계에 만연한 성과 지상주의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이었던 아서 레빗Arthur Levitt은 공격적인 뮤추얼펀드가 과거의 수익률을 선전하는 것을 ‘성과 지상주의 문화’의 일부라고 말한적이 있다.


성과 지상주의는 쉽게 극복하기어려운 시스템적 오류이다. 성과는 거의 모든 투자자의 첫 번째 기준이고, 이것을 잘 아는 투자 상품 판매자들은 광고와 선전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과거 성과가 미래 성과의 지표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며, 이것이 투자 상품 안내서에 경고 문구가 필요한 정확한 이유이다.


현실적으로 그들은 경쟁이 몹시 심한 일을 하고 있다. 그들에게 직업의 안정성과 승진은 자신의 펀드에 지속적으로 신규 자금을 유치하는 데 달려 있다. 좋은 성과를 선전할 수 없는 경우 가장 쉬운 해결 방법은 성과가 나쁜 펀드를 청산하고 새로 시작 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펀드 배양fund incubation이라는 월스트리트의 또 다른 속임수로 이어진다.


펀드 배양 전략은 이렇게 운영된다. 어떤 펀드 회사가 각각 그럴듯한 투자 전략을 내세운 펀드를 여러 개 새로 개설한다. 그 펀드들은 시장 예측, 정보 발굴, 마이다스의 손을 가진 차세대 유망 펀드매니저에게 의존한다. 각 투자 전략이 실행되고 우연히 대박을 쳐서 탁월한 연간 수익률을 보인 펀드가 한두 개 나타난다. 이제 이 펀드들은 그들의 탁월한 성과를 홍보하고 상품화한다. 뒤이어 자금이 유입되기 시작한다.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면 리스크가 큰 종목들은 포트폴리오에서 제외되거나 리스크가 작은 종목으로 대체된다. 이러한 기법은 결과적으로 그저 그런 성과를 유지하는 사설 인덱스펀드를 만들게 된다. 좀 사기꾼 같지 않은가?


이렇게 배양된 펀드들은 유망 종목을 발굴하고 신규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비싼 광고비를 지출하고 빈번히 매매를 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높은 내부적 펀드 비용을 전가한다. 그리고 실험실 실습 같은 이런 상황은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끝이 난다.


펀드 배양은 펀드매니저들이 설명서에 있는 대로 실행하지 않고, 대중의 욕망을 이용해서 그저 펀드매니저 자신의 이익을챙기려 드는 또 하나의 증거이다. 단기적 성과에 집중하는 전략 은 펀드 설명서 자체에는 거의 설명되지 않는다. 그들은 장기투자를 권유한 다음 펀드 내의 적절한 증권 조합을 위해 잦은 매매를 한다. 많은 연구 조사는 펀드 회전율이 높은 만큼 비용이 늘어나고 평균 이하의 성과를 가져옴을 알려준다. 시장 예측 전략도 시장의 상하 움직임을 예측하려고 노력함으로써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이러한 모든 매매 전략이나 시장 예측 노력은 투자자에게 더 많은 비용을 떠넘기는 결과를 가져온다. 무엇 때문에 그렇게 하는가? 그렇게 하면 펀드 회사는 펀드 유지 비용으로 더 많은 수입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월스트리트와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충된 이해관계의 알기 쉬운 사례이다.


썩은 달걀 숨기기

적극적 투자의 세계에서 거의 발표하지 않는 또 다른 속임수는‘생존자 오차survivorship bias’이다. 생존자 오차는 뮤추얼펀드가 성과 달성에 실패해서 먼지 덩어리처럼 카펫 밑으로 쓸려 들어갈 때 발생한다. 이것은 펀드 배양의 부산물이거나 저조한 실적의 결과이다. 2004년 말 현재 모닝스타 데이터베이스에는 1 6842개의 뮤추얼펀드가 존재했다.


2004년 3월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뮤추얼펀드 4,117개가 청산되거나 다른 펀드로 합병되었다. 이는 상당한 비율인데, 실적이 평균 이하인 4,000개 이상의 트랙 레코드가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이런 트랙 레코드를 제외시키면 살아남은 나머지 펀드들의 평균수익률은 올라가게 마련이며, 이런 방식으로 평균 수익률을 왜곡시키고 생존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같은 3년 동안 사라진 것보다 더 많은 6161개 펀드가 새로 개설되었다. 이런 야바위 게임 때문에 뮤추얼펀드의 정확한 실적 정보를 얻기가 더 힘들어진다. 그러므로 사라지는 펀드들과 그들의 청산에 따른 생존자 오차를 잘 기억해두라.


최고에서 최악으로

다음 쪽에서 보는 차트는 1996~1999, 1999~2002년 두 번 연속된 4년 주기 동안 미국 주식형 펀드 중 상위 10위에 든 펀드의 실적을 보여준다. 결과는 펀드의 성과가 기간에 따라서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를 명백히 보여준다.


차트가 보여주는 것처럼 최고 10위권에 든 펀드들은 1996년부터 1999년 사이에 45퍼센트에서 65퍼센트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러한 수익률은 모든 투자자의 주의를 끌 만한 성과이다.


자신이 이처럼 우수한 성과를 내는 펀드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그런데 바로 그 상위 10위에 든 펀드들은 그 다음 4년 동안에는 완전히 돌변하여 맨 밑바닥으로 추락했다. (최고 9위이던 펀드는최악의 성과를 나타냈다.) 수익률 추종자에게는 끔찍한 악몽이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1999 1월에 이전 실적에 근거해 이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을 비난할 수 있는 투자자나 브로커는 찾기힘들 것이다. 적극적 투자자들을 감싸고 있는 극도의 유혹 때문이다. 이처럼 수익률을 추종하는 것은 어떤 포트폴리오에서든 치명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익률을 추종하는 것은 장기투자의 취지에서도 해롭기 쉽다. 펀드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간과하지 않아야 할 포인트다. <출처:http://rg4u.co.kr>

반응형

'경제와 세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펀드 고르는 7가지 원칙  (0) 2008.02.22
종자돈 모으기 노하우  (0) 2008.02.22
연말정산 꼼곰히 살펴보기  (0) 2008.02.22
재테크에 성공한 젊은 부자  (0) 2008.02.22
주가상승과 자산효과  (0) 2008.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