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348)
-
갑자기 쥐가 났을때
★ 갑자기 쥐가 났을 때 갑자기 허벅지등에 쥐가 났을 때, 쥐가 난 쪽의 엄지 발가락을 세게 잡아 당기도록 한다. 이래도 낫지 않을 때는 쥐가 난 부위를 뜨거운 물수건으로 10분쯤 습포하던가 가벼운 맛사지를 한다
2008.01.03 -
어린이가 갑자기 구토할때
어린이 구토의 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양하다. 보통 영아기에는 위장염이나 위식도역류, 과식, 뇌압 상승 등이 원인이며 소아기에는 위장염, 심한 기침, 간염, 전신감염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구토는 위벽 근육이 급격하게 수축돼 위의 내용물을 토해내는 것을 말한다. 어린아이는 식도나 위의 내용물이 저절로 역류돼 나오는 경우가 흔한데 이는 구토라기보다는 '게우기'라고 볼 수 있다. 게우기는 신생아들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생후 9~12개월까지 계속된다. 게우기는 수유 후 아기의 자세와 수유방법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아기가 바로 누워 있을 때는 우유를 쉽게 게운다. 또 머리 방향을 높여서 엎드린 자세나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에서는 트림이 잘돼 게우기가 줄어든다. 반면 구토는 뇌 연수가 관련된 신체반응이므로 위..
2008.01.03 -
아기가 아플때 응급처치법
초보 엄마들은 아기가 한밤중에 열이 나면 날이 밝아서 병원을 가야할지 아니면 당장 응급실을 가야할지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답니다. 응급실은 응급한 환자가 방문하는 곳으로 단순 열감기로 방문했다가는 한참을 기다리고도 물찜질로 열만 내리고 내일 병원을 다시 방문하라는 소리만 들을 수 있거든요. 반대로 엄마가 보기에는 급해 보이지 않아서 내일 가야지 생각하고 있다가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도 있답니다. 지금부터 밤중이라도 응급실을 방문해야 되는 경우를 말씀드릴께요. * 2-3개월 미만의 영아가 37.5도 이상의 열이 있을 때, 이때는 물론 열이 있다고 판단하기 까지 먼저 주위환경을 시원하게 하고 옷도 시원하게 해서 과보온으로 인한 일시적인 열 은 아니었나 여러차례 체온을 측정한 후에 그래도 열이 있으면 병원을 ..
2008.01.03 -
식품별 칼로리량 알아보기
식 품 칼로리(Kcal) 식 품 칼로리(Kcal) 강냉이(20g) 20kcal 감자깡(100) 481kcal 감자칩1봉(108g) 544kcal 건빵1봉(90g) 344kcal 고래밥1봉(54g) 232kcal 꼬깔콘1봉(95g) 520kcal 다이제스티브1개(9g) 40kcal 마가렛트(100g) 480kcal 맛땅콩17알(14g) 80kcal 빼빼로1개(2g) 10kcal 비스켓1개(8g) 25kcal 쌀로별1봉(60g) 210kcal 새우깡1봉(90g) 494kcal 애플파이 85g 253kcal 웨하스1봉(80g) 400kcal 에이스1봉(168g) 890kcal 짱구1봉(80g) 423kcal 쵸코파이1개(45g) 166kcal 치토스1봉(128g) 682kcal 켈로그 1인분(30g) 111k..
2008.01.03 -
복부비만 다이어트하기
복부비만은 어떻게? 최근 들어 몸무게보다 또, 허리와 배의 비율보다 배의 절대적인 사이즈가 건강에 가장 문제라는 보고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체중이 좀 많이 나가는 것보다 체중은 적어도 배가 볼록 나와 있다면 건강의 적신호로 보고 허리를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다른 부위 보다 특별히 배가 나온 사람들의 특징은 음식에 대한 탐심이 많거나, 게을러서 활동양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주로 태음인의 경우 양쪽 경향이 모두 있어서 쉽게 비만하게 되는 거죠. 원래 태음인들은 겉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욕심이 많은 성격입니다. 그래서 기가 계속 몸의 중심부로 쌓이게 되죠. 기가 가는 곳에는 물질도 갑니다. 결국 다른 부위보다 마치 공처럼 배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제가 진료실에서 보면 복부비만자는 크게 아래 가지 경우가..
2008.01.03 -
스트레스 체크리스트
-쉽게 짜증이 나고 기분의 변동이 심하다 -피부가 거칠고 각종 피부질환이 심해졌다 -온몸의 근육이 긴장되고 여기저기 쑤신다 -잠을 잘 못들거나 깊은 잠을 못 자고 자주 잠에서 깬다 -매사에 자신감이 없고 자기비하를 많이 한다 -별다른 이유 없이 불안하고 초조해 한다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매사에 집중이 잘 안되고 일의 능률이 떨어진다 -식욕이 없어 잘 안먹거나 갑자기 폭식을 하게 된다 -기억력이 나빠져 잘 잊어버린다 위 항목들에 대해 각각 전혀 그렇지 않다(0점), 약간 그렇다(1점), 대체로 그렇다(2점), 매우 그렇다(3점) 등으로 점수를 매겨 합산한 총점에 따라 아래와 같이 스트레스를 측정한다. 0~5점 : 거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 않음. 6~10점 : 약간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 11~15점 ..
2008.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