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376)
-
꽈배기 나무
인제군 백담사에서 1킬로미터 지나면 초등학교가 하나 나오는데 학교 옆 집에서 우연히 본 나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런지 아니면 본래 성질이 배배 꼬였는지 고단한 삶이 엿보이는 나무 한 그루
2008.01.07 -
간디스토마의 증상 및 치료예방
간디스토마(Clonorchiosis,간흡충)증란? 간흡충증은 민물 생선을 회로 먹어 감염되는 식품매개성 기생충병으로, 우리나라는 간흡충증의 세계적인 만연지로 알려져 있다. 간흡충은 감염된 사람의 간담도에 기생하면서 무기력증, 복통, 소화불량 및 황달 등의 증세를 일으킨다. 주로 대변 내 충란검사법, 초음파와 내시경적 역행성 담관 조영술, 피부반응검사(CS skin test), 혈액검사를 이용한 기생충 항체검사 등을 통해서 간흡충증 감염을 진단한다. 이중 가장 일반화된 검사법은 대변충란검사법으로 대변에서 간흡충의 알을 찾아 내는 것이다. 많은 수의 충체가 장기간 기생하게 되면 담관암이 생기거나 담관내에 결석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화농성 담관염을 비롯한 담관염 및 담관성간염 등이 합병증으로 나타나기도 한..
2008.01.06 -
간경화 증상 원인 및 치료예방
간경화(Liver cirrhosis, 간경변)란? 정상 간조직의 간세포가 지속적으로 파괴되고 이에 따라 간에 섬유화 현상과 재생결절(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로 표면이 울퉁불퉁 굳어지고 모양이 일그러지는 상태로 주로 40~50대 남성에게 발생한다. 증상 간경화는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진행이 많이 되어서야 조금씩 자각증상이 나타난다. 간경화가 진행되면 전신의 피부가 거무티티해지고 윤기가 없고, 안면·전흉부·어깨·복부에 붉은 실같은 반점이 생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전신 피로감, 식욕부진, 구역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등을 들 수 있다. 증상이 더욱 심해지면 복수가 차게 되어 배가 불룩하게 되고 손 바닥에 작은 홍색반점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이 발생..
2008.01.06 -
간암의 원인 증상및 치료
간암(Liver Cancer)이란? 일반적으로 간암이라고 하면 대부분 간세포에서 기원하는 간세포암을 말한다. 처음부터 간에서 생기는 원발성 간암과 다른 장기에 발생한 암이 간에 전이되어 생기는 전이성 간암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간암이라고 하면 원발성 간암을 뜻한다. 세계적으로 간암 발생률은 지역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고 있으며, 아프리카, 대만, 중국, 한국, 동남아, 일본 등에서는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반면 북미, 남미, 영국, 호주, 구라파 등지에서는 낮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간암 발생률은 10만명당 남자 30.5명, 여자 7.6명이 매년 발병이 된다고 추정된다. 특히 40∼60세까지의 중장년기에서의 간암 발생률은 남자 74.8명, 여자 15.6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발병률을 보이고 ..
2008.01.06 -
대장암의 원인 증상과 치료
대장암(Large Intestine Cancer)이란? 대장은 소화 흡수되고 남은 음식물이 머무는 곳으로 이곳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으로 만든다. 결장, 직장, 항문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부위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을 대장암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대장암 발생율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대장암에 걸리는 빈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고 연령별로 보면 50대~60대가 많다. 증상 대장암은 종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서 증상이 달라진다. 왼쪽 대장에 암이 발생하면 장 폐색에 의한 대변 굵기가 감소하고 급한 변을 보게 되며 둔한 복부의 통증 및 치질이 나타난다. 오른쪽 대장에 암이 생기면 장 폐색은 늦게 나타나는 대신 빈혈, 출혈, 소화불량이 주로 나타난다. 가장 흔한 증상은 불규칙한 배변, 즉 변비 혹은 설사가 번갈..
2008.01.06 -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 당뇨병에 역효과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 당뇨병에 역효과 우리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고밀도지단백(HDL)이 많으면 당뇨병환자에겐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켄터키 대학 생화학교수 에릭 스마트 박사는 당뇨병 환자가 혈중 HDL수치가 높으면 오히려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스마트 박사는 당뇨병 환자에게서는 HDL분자가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장쇄(long-chain)지방산인 미리스트산(myristic acid)과 결합해 심혈관질환을 차단하는 물질인 산화질소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스마트 박사는 이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결과로 당뇨병 환자에게는 HDL이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는 커녕 오히려 촉진하는 위험요인임을 보여..
2008.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