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8. 11:07ㆍ건강 정보 창고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적인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인 비스페놀A의 경우 식품 기구 및 용기포장에 대해 재질규격과 용출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플라스틱 젖병의 경우 2.5ppm으로 용출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프탈레이트의 경우 DEHP는 1989년부터 식품기구 및 포장용기에 사용금지 되어 있으며 2001년부터 DEHP, DBP, BBP, DINP, DnOP, DIDP에 대해 만3세 이하 어린이가 입에 물 수 있는 완구에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2005년 7월부터 DEHP, DBP, BBP에 대해 완구 및 어린이용 제품에 대해 사용을 금지시키고 있다. 그 밖에도 2006년 4월부터는 프탈레이트류의 화장품 배합금지 원료로 지정하였으며, 2005년부터 식품 용기 포장랩에 DEHA 사용을 금지시키고 있다. 향후 식품의약품안전청 내 국립독성연구원에서는 지속적인 인체노출 모니터링 및 환경호르몬 관련 검색시험법 확립과 실태조사 및 인체영향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한다.
<표2>외국의 환경호르몬 관리제도
세계야생생물보호기금 |
일본 후생성의 분류 |
일리노이주 EPA분류 (총74종) |
-다이옥신류 등 |
-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등 가소제 9종 |
-알려진 물질(KNOWN):DDT등 19종 -가능성이 있는 물질(Probable):카드뮴등 29종 -의심되는 물질(Suspect): BHA등 26종 |
'건강 정보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고민했던 다이어트 흔적들 (2) | 2008.04.03 |
---|---|
코골이 환자는 찜질방의 공공의 적? (1) | 2008.03.19 |
유아용품 환경호르몬에 취약하다 (0) | 2008.03.08 |
미용성형산업, 정보를 조작하여 미용성형 강요해 (0) | 2008.03.08 |
코성형 수술 후 부작용 발생시 병원측의 책임 범위 (0) | 2008.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