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세 이후에는 1~2년에 한번씩 반드시 유방암 정기 검진을 받아야 한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유방암이 여성암 중 발생률 1위다. 2002년 암 등록보고서에 따르면 유방암에 걸리는 여성은 연 5천4백여명으로 전체 여성암 중 15%를 차지한다. 물론 미국과 유럽 등 서구 선진국의 경우 인구 8명당 1명이 유방암에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인구 10만명당 20명꼴인 국내 발병률은 적은 수치라고 할 수 있지만 증가 속도를 고려하면 그리 안심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 특히 서구의 경우 유방암이 폐경기 이후의 44∼55세 여성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나 우리나라는 95년 이후 30∼39세 젊은 여성들의 유방암 증가율이 40대와 비슷한 분포를 보일 만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방암 발병 원인
육류 중심의 식생활
유방암이 급격히 증가하는 원인을 찾을 때 가장 먼저 꼽히는 것이 ‘식생활 습관의 서구화’다. 2000년 보건복지부의 보고에 따르면 육류를 비롯한 동물성 지방 섭취량이 지난 10년간 10배 이상 증가했고, 특히 최근 3년간은 우유와 동물성 지방은 33%, 육류와 알류는 3%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학조사에 따르면 유방암의 발생 빈도가 높을수록 그 나라의 국민은 대체로 동물성 단백질 함량이 높은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미국인은 일본인에 비해 약 3배 가량 많은 지방과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방암 발생률도 그만큼 높다. 특히 30대 젊은 여성들의 유방암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그들이 40∼50대 이상 중년층보다 상대적으로 서구의 음식문화에 더 많이 길들여져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13세 이전에 초경을 하고 55세 이후에 폐경될 때
초경을 13세 이하에 시작하고, 폐경이 55세 이후로 늦어져 전체 생리 기간이 길어지면 유방암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는 반면 난소절제술 등으로 폐경이 앞당겨지면 유방암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폐경 후 비만증이 있는 여성에게 유방암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는데, 체지방의 양이 많아지면 말초 신경에서 여성호르몬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 정확한 발생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유방암은 여러가지 호르몬, 특히 여성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방암이 남성에게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는 한데 극히 미미하며 거의 전적으로 여성에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고, 시기적으로는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사춘기 이후에 발생한다. 반면 선천적으로 난소의 기능이 없는 여성에게는 유방암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여성호르몬 대체 요법의 사용
지난해 7월, 미 국립보건원의 여성호르몬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폐경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함께 들어 있는 복합 호르몬을 복용한 여성은 유방암 발생률이 26%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복합 호르몬 요법을 5년 이상 사용하지 못하도록 권고하는 조치가 내려지기도 했다.
먹는 피임약의 장기 복용
먹는 피임약 복용이 유방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지 여부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여러 보고들에 따르면 먹는 피임약의 복용 기간에 따라 유방암의 위험성이 1.7∼4배 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는 피임약 역시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복합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먹는 피임약의 사용 기간과 유방암이 발생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개인차가 커 좀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출산 경험이 없거나 첫 출산 시기가 30세 이후일 때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은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가능성이 1.4배 더 높다. 첫 출산 연령이 30세 이후인 여성의 유방암 발병 가능성은 20대에 첫 출산을 한 여성보다 2∼5배 높다. 유산 경험이 유방암의 발생률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